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년 3월 27일(목) 어제자 뉴스 헤드라인

어제자 뉴스 헤드라인

by 얕고 잡다한 지식 2025. 3. 27. 10:56

본문

728x90
반응형

2025년 3월 26일(수) 주요 뉴스 헤드라인

어제 하루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주요 뉴스 헤드라인을 방송사별로 정리해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해드립니다.

어제자 주요 헤드라인 뉴스는 JTBC뉴스룸과 MBC뉴스데스크, SBS 8뉴스, KBS 9시뉴스 헤드라인을 알려드립니다.

https://youtu.be/57dtLart2tM

 

JTBC가 뽑은 헤드라인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이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이번 판결로 피선거권 박탈 위기에서 벗어났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은 여전히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헌법재판소가 오늘도 선고기일을 지정하지 않으면서 사월 선고설이 힘을 받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의 이심 재판의 쟁점을 재판부가 자세히 들여다 본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표의 무죄 판결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했고, 민주당은 "위대한 국민승리"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번 판결이 윤 대통령 탄핵 사건과는 별개임에도 불구하고 여당과 극우 세력들은 분노의 화살을 재판부와 헌법 재판소에 돌리고 있습니다. 한편,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을 거쳐 동해안 영덕까지 번졌습니다. 강풍을 타고 확산된 불길로 주민과 진화대원 등 이십 여 명이 숨졌습니다. 의성에서는 숨어있던 잔불이 바람에 살아나 다시 확산되고 있습니다. 진화 헬기가 추락하여 칠십 대 조종사가 참변을 당했습니다. 안동의 하회마을은 고비를 넘겼지만 아직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동해안 곳곳에서 불기둥이 치솟으며 칠번 국도가 공포의 피난길이 되었고, 지리산 하동에서 번진 산불은 국립공원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인공강우 시도의 가능성 여부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한편 온 국민의 시선이 헌법 재판소를 향하고 있습니다. 감감 무소식인 가운데 4월로 선고가 미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윤 대통령의 정치적 발언 대신 지지층에 대한 메시지를 헌재 자극을 최소화 하려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극우 세력 중 일부가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에서 인용을 한 재판관의 집 주소를 공개하여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곽종근 사령관은 공소 사실 전부를 인정하였고 금융감독원은 삼부와 김여사와 원희룡의 관련 사항들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서부지법 폭도들은 인권 침해를 받았다며 적반하장의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돌비뉴스에서는 울산시장의 발언에 대해 논란이 있었고, 이재명 대표의 이심 선고에 대한 여당의 반응을 살펴 보았습니다. 계곡에 몸을 담그고 버티다 극적으로 구조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산청의 봄 풍경은 온통 무채색으로 변해버렸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qPUobRGgI-Q?feature=share

 

 

 

 

 

MBC가 뽑은 헤드라인은 대형 산불이 전국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강원도와 지리산, 부산 장안사까지 불길이 번지면서 스물 다섯 명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산등성이마다 시뻘건 불길이 치솟고 있으며, 불을 꺼도 돌아서면 다시 활활 타오르는 상황입니다. 노후 헬기가 진화 작업 중 추락해 고령의 조종사가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불이 사람보다 훨씬 빨라 주민들은 몸만 빠져나오기 급급했습니다. 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 대표는 "사필귀정"이라며 "더는 국력을 낭비하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고 김문기 관련 발언과 국토부 협박 발언 모두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재판부는 검찰의 확장 해석을 지적했습니다. 국토부의 협박 발언도 무죄를 받았고, 재판부의 판결의 전체 맥락을 봐야 한다는 분석입니다. 민주당 의원들과 지지자들은 환호하며 "정치검찰이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사법 리스크 해소 후 바로 안동 산불 현장으로 향했습니다. 반면 여당은 "승복하라"던 입장에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재판부에 대한 색깔론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이재명 대표의 출마 걸림돌이 사라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산불 피해 현장에서는 주민들을 챙기던 이장 부부가 대피 도중 사망하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밤사이 여덟 명의 노인이 참변을 당했고, 동해안 마을까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통신 장애로 가족과 연락이 두절되는 등 곳곳에서 아비규환이 벌어졌습니다. 소방대원들의 눈물겨운 사투에도 불구하고 지리산의 강풍으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전국이 불쏘시개 상태라 내일 예보된 비가 도움이 될지 주목됩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가 또 공지되지 않아 다음 주를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선고가 늦어질수록 파면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농민들도 시위에 합류했습니다. 검찰은 이차 계엄 정황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 보고서에 적시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재판관들에 대한 노골적인 협박이 계속되고 있으며, 공중협박에 대한 첫 영장이 발부됐습니다. 마지막으로, 법원 결정을 무시한 채 방통위에서 이인 체제로 이 비 에스의 사장을 선임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_QFihHCuew8?feature=share

 

 

 

 

 

SBS가 뽑은 헤드라인은 경북과 경남 일대를 덮친 대형 산불이 엿새째 계속되면서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스물 여섯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청송, 안동을 거쳐 동해안 영덕까지 번졌습니다. 일부 마을은 통째로 불에 타 도로에도 잿더미만 남았습니다. 주민들은 불길을 피해 방파제로 대피했고, 재소자들도 긴급 이송됐습니다. 산불 진화 중 삼십 년 된 헬기가 추락해 칠십 대 조종사가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안동에서는 하회마을 코앞까지 불길이 위협하고 있습니다. 희생자 대부분이 고령자이고 긴급재난문자가 무용지물이었던 것으로 알려습니다. 다섯시간 넘게 재난문자가 발송되지 않고 군청이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도로 곳곳에 불길이 넘실대 차량 대피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경남 산청에서는 지리산 국립공원까지 불길이 번져 탐방객들에게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 울산 울주 산불도 닷새째 계속되고 있으며, 재발화로 진화율이 하락했습니다. 산불 연기는 위성에서도 관측될 정도로 심각하며, 전문가들은 최소 십 미리 미터의 비가 내려야 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편 이재명 대표의 '허위사실 공표' 관련 재판에서 일심 판결을 뒤집으며 무죄가 선고됐습니다. 골프 사진 조작 여부와 국토부 협박 발언이 쟁점이 됐으며, 검찰은 즉시 상고했습니다. 대법원 선고가 삼개월 내에 나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재명의 무죄 선고로 헌재의 결정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야당은 정치 보복 수사에 경종을 울렸다며 국민의 승리라는 반응이고, 여당은 거짓에 면죄부를 주었다면 대법원의 판단을 기대했습니다. 의성 산불로 스물 두 명이 희생됐고, 대부분이 고령자입니다. 천년 고찰 고운사가 전소되고 만세루가 잿더미로 변하는 등 국가 유산이 심각한 재난 위기에 처했습니다. 과수원과 농가가 초토화되어 주민들의 생계가 막막한 상황입니다. 동해안 까지 번진 산불에 영덕의 피해 상황을 알아보았고, 지리산 탐방객 대피령이 내린 산청의 상황도 살펴 보았습니다. 도심에서는 트랙터가 진입하며 탄핵 찬반 집회가 가열되고 있습니다. 한편, 일월 출생아 증가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해 상승세가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국제 뉴스로는 일본에서 나흘째 산불이 계속되어 주민 만 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졌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흑해 휴전'에 동의했지만 여전히 이견을 보이고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kDPBmtwdLQo?feature=share

 

 

 

 

 

 

KBS가 뽑은 헤드라인은 대형 산불이 엿새째 계속되며 인명과 재산 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화염에 마을이 고립되고 요양시설 차량이 폭발하는 등 안타까운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가족과 주민을 구하려다 참변을 당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진화 헬기가 추락하는 사고로 운항이 중단됐다가 재투입되었습니다. 마을은 잿더미만 남았고, 주민들의 대피 행렬이 꼬리를 물고 있습니다. 경북 영덕에서는 모든 주민에게 대피령이 내려졌고, 안동에서는 곳곳에 물과 전기가 끊겼습니다. 의성에서는 산불 상황 확인조차 어려운 실정입니다. 울주에서는 산불이 되살아나 피해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태풍 같은 강풍으로 산불이 동해안까지 확산되었고, 주민들은 불길을 뚫고 필사의 탈출을 하고 있습니다. 전기와 통신이 끊겨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시청자들이 목격한 산불은 순식간에 번졌다고 합니다. 천년 고찰인 고운사의 누각이 전소되는 등 문화재 피해도 발생했습니다. 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선거법 위반 이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이 나왔습니다. 일심 판결을 뒤집은 것인데,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는 점과 국토부 협박 발언이 허위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상고할 예정이며, 대법원의 최종 판결이 주목됩니다. 이재명 대표는 한숨을 돌렸지만, 남은 형사 재판들이 있어 사법 리스크는 여전합니다. 검찰의 사건 조작 의혹이 제기되면서 계파를 불문하고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반면 여당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지만 이재명의 사법 리스크는 그대로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산불 현장에서는 대피 명령만 있을 뿐 장소와 방법을 몰라 주민들이 갈팡질팡하고 있습니다. 홀로 숨진 고령자들이 많아 이웃을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안동 하회마을에서는 낙동강만 믿고 마을을 사수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불길이 지리산 국립공원까지 뻗쳐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교도소에도 불이 붙어 초유의 재소자 이감이 이뤄졌습니다. 역대 최악의 산불로 정부는 모든 자원을 동원하고 있습니다. 내일 기다리던 비 소식이 있어 주불의 기세가 꺾일지 주목됩니다. 국제 뉴스로는 미국은 북한이 핵보유국 인정을 원한다는 소식을 전해졌습니다. 서해 수호의 날을 앞두고 우리 군은 동서남해에서 기동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1v1WhvdOVWM?feature=share

 

 

2025년 3월 26일 뉴스링크

▶︎ JTBC 뉴스룸

https://youtu.be/aHzMIHdO45E?si=rr_hdoPoSIKL-cgs

 

▶︎ MBC 뉴스데스크

https://www.youtube.com/watch?v=8nP5cI0lIjo

 

▶︎ SBS 8 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Cr_i2m4uIGE

 

▶︎ KBS 9시 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XtjcQG2uddo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